Quick Answer
캄보디아 납치 사건의 배후, 프린스 그룹이 남긴 흔적
“합법의 얼굴을 쓴 범죄, 침묵의 동맹”
이 사건의 뿌리를 더듬으면, 한 이름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프린스 그룹(Prince Group), 그리고 그 회장 천즈(Chen Zhi).
중국 푸젠성 출신의 젊은 재벌, 훈센 전 총리의 ‘정치 고문’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그의 제국은 부동산, 금융, 관광, 자선사업, 심지어 미술 전시까지 품고 있었다.
그럴듯한 외피 속에서, 국제 수사당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사기·노동착취 네트워크’의 중심을 보았다.
2025년, 미국 법무부는 천즈를 초국가적 범죄조직의 수장으로 기소했다.
혐의는 강제노동, 인신매매, 자금세탁, 암호화폐 범죄 공모.
몰수 대상은 비트코인 150억 달러, 한국 돈으로 약 21조 원.
그중 일부는 북한 해커 조직과의 자금 세탁 연결 정황으로까지 이어졌다.
영국 정부는 런던 부동산 19채를 동결했고,
이 사건은 ‘자본과 범죄의 국제 네트워크’라는 표현으로 정리되었다.
그러나 질문은 남는다.
왜 캄보디아이며, 어떻게 이런 구조가 지속될 수 있었는가.
그 답은 정치와 경제의 결합에 있다.
훈센 가문이 수십 년간 장악한 국가권력은
부패와 은폐, 그리고 통제의 메커니즘으로 작동했다.
국제앰네스티는 “국가의 방조 또는 유착이 명백하다”고 명시했다.
단속은 형식적이었고, 고문과 감금의 현장은 그대로 남았다.
천즈는 이 체제 속에서 면죄부를 받았고,
그의 기업은 ‘캄보디아 경제성장의 상징’으로 포장됐다.
프린스 그룹의 홍보자료를 보면,
그들은 장학재단을 운영하고, 체육단체를 후원하며, 환경 보호 캠페인을 펼친다.
그러나 내부 문건은 다른 이야기를 한다.
그들의 계열사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는
자금세탁 통로로 활용되었고,
한국 서울 중구 순화동 17층에 ‘한국사무소’를 개설한 정황이 국회 보고서에 포착되었다.
전화는 연결되지 않았고, 실제 활동은 불분명했다.
그러나 2024년, 서울에서 열린 ‘프린스 갤러리’ 전시회에는 그룹의 이름이 버젓이 붙어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부패가 아니라,
‘합법의 얼굴을 쓴 범죄의 시스템’이다.
법인을 세우고, 자선을 하고, 문화 행사를 열며,
그 이면에서 사람을 사고팔고, 돈을 숨긴다.
국가의 침묵과 자본의 합리성이 만나면,
범죄는 윤리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이 사건은 하나의 경고다.
우리가 ‘국가’, ‘시장’, ‘기업’이라는 이름에 얼마나 쉽게 신뢰를 내어주는가에 대한.
캄보디아에서 시작된 이 구조는 이미 국경을 넘어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심지어 서울까지 닿았다.
그것은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현대 자본주의의 어두운 동반자였다.
맺음말 — “기억해야 할 이름들”
우리가 지금 말하는 것은
단지 캄보디아의 어딘가에서 벌어진 비극이 아니다.
그것은 체제의 이야기다.
국가가 법을 팔고, 자본이 인간을 산다.
그리고 우리는, 그 결과를 ‘뉴스’로 소비한다.
그러나 모든 구조에는 틈이 있다.
이 보고서가 존재한다는 사실,
이 글을 읽는다는 행위 자체가 그 틈을 넓히는 일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순하다.
희생자의 이름을 기억하고, 그들을 숫자로 환원시키지 않는 것.
그리고 이 산업의 ‘합법적 가면’을 벗기는 일.
이것이 ‘캄보디아 납치 사건’이 우리에게 남긴 가장 무거운 질문이다.
인간의 고통이 산업의 일부가 될 때, 우리는 어디까지 침묵할 수 있는가.
더 보기
History & Society
1부 캄보디아 납치 사건의 전모와 한국인 피해자의 기록
Philosophy & Thought
Literature & Classics
Economic Thought & Commentary
Artist Profiles
Designer Toys
Cultural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