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납치 사건의 배후와 음모 — 프린스 그룹과 글로벌 범죄경제

Quick Answer

프린스 그룹이 드러낸 캄보디아 납치 사건의 배후 구조

캄보디아 인신매매·강제노동 사건의 핵심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 천즈 회장의 이미지
국제앰네스티는 캄보디아를 ‘산업형 온라인 사기 국가’로 규정하며, 수만 명이 감금·고문당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 사건명: 캄보디아 납치·감금·강제노동 사건
  • 기간: 2019년 이후 지속 — 2023~2025년 집중 확산
  • 핵심 배후: Prince Group (프린스 그룹)
  • 주요 인물: Chen Zhi (천즈, 1987년생) — 프린스 그룹 회장, 훈센 전 총리의 정치 고문
  • 범죄 유형: 인신매매, 감금, 강제노동, 암호화폐 사기, 자금세탁
  • 피해 규모: 약 20만 명 이상 (Amnesty International, 2025)
  • 피해국: 캄보디아, 미얀마, 필리핀, 베트남, 한국 등

① 프린스 그룹 — 합법의 얼굴을 쓴 범죄제국

프린스 그룹은 부동산, 금융, 관광, 자선, 미술 후원 등 ‘합법적 사업’으로 위장했으나, 미국 법무부는 이를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했다.
2025년 천즈는 강제노동·인신매매·자금세탁·암호화폐 범죄 공모 혐의로 기소되었고, 150억 달러(약 21조 원) 상당의 비트코인 몰수 소송이 진행 중이다.
또한 영국 재무부는 런던 소재 부동산 19채(1억 파운드 규모)를 동결했다.
일부 자금은 북한 해킹 조직의 암호화폐 자금세탁에도 이용된 정황이 확인됐다.

② 정치적 배후 — 훈센 가문과의 유착

천즈는 훈센 전 총리의 공식 ‘정치 고문’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국제앰네스티와 휴먼라이츠워치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 경찰 및 정부 고위층 일부는 범죄단지의 운영을 ‘묵인하거나 보호’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훈센 가문은 국가권력을 통해 경제 네트워크를 통제하며, 범죄자본이 ‘캄보디아의 성장 스토리’로 포장되는 구조를 만들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범수 의원실은 프린스 그룹 계열사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가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사무소’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전화 연결은 불가능했으며, 실제 사업 활동은 불분명하지만, 2024년 서울에서 열린 ‘프린스 갤러리’ 전시회에 그룹 로고가 사용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④ 국제사회의 대응

  • 미국 법무부: 천즈 및 프린스 그룹 기소, 암호화폐 몰수 소송
  • 영국 재무부: 런던 내 부동산 19채 동결
  • 국제앰네스티: “국가의 방조로 이루어진 체계적 인신매매” 규정
  • 유엔 인권이사회: ICC(국제형사재판소) 회부 검토 중
  • 한국 국회: 국내 자금세탁 루트 조사 및 피해자 지원 특별위원회 논의 중

⑤ 사건의 의의

캄보디아 납치 사건은 단순한 인신매매를 넘어, 정치 권력과 범죄 자본이 결탁한 ‘산업형 인권침해’의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합법기업의 외피 뒤에 숨은 불법노동 구조, 글로벌 금융망을 통한 세탁, 그리고 국가의 침묵 — 이 세 요소가 결합해 ‘현대판 노예경제’를 만들어냈다.

캄보디아 납치 사건의 배후, 프린스 그룹이 남긴 흔적

“합법의 얼굴을 쓴 범죄, 침묵의 동맹”

이 사건의 뿌리를 더듬으면, 한 이름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프린스 그룹(Prince Group), 그리고 그 회장 천즈(Chen Zhi).
중국 푸젠성 출신의 젊은 재벌, 훈센 전 총리의 ‘정치 고문’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그의 제국은 부동산, 금융, 관광, 자선사업, 심지어 미술 전시까지 품고 있었다.
그럴듯한 외피 속에서, 국제 수사당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사기·노동착취 네트워크’의 중심을 보았다.

2025년, 미국 법무부는 천즈를 초국가적 범죄조직의 수장으로 기소했다.
혐의는 강제노동, 인신매매, 자금세탁, 암호화폐 범죄 공모.
몰수 대상은 비트코인 150억 달러, 한국 돈으로 약 21조 원.
그중 일부는 북한 해커 조직과의 자금 세탁 연결 정황으로까지 이어졌다.
영국 정부는 런던 부동산 19채를 동결했고,
이 사건은 ‘자본과 범죄의 국제 네트워크’라는 표현으로 정리되었다.

그러나 질문은 남는다.
왜 캄보디아이며, 어떻게 이런 구조가 지속될 수 있었는가.

그 답은 정치와 경제의 결합에 있다.
훈센 가문이 수십 년간 장악한 국가권력은
부패와 은폐, 그리고 통제의 메커니즘으로 작동했다.
국제앰네스티는 “국가의 방조 또는 유착이 명백하다”고 명시했다.
단속은 형식적이었고, 고문과 감금의 현장은 그대로 남았다.
천즈는 이 체제 속에서 면죄부를 받았고,
그의 기업은 ‘캄보디아 경제성장의 상징’으로 포장됐다.

프린스 그룹의 홍보자료를 보면,
그들은 장학재단을 운영하고, 체육단체를 후원하며, 환경 보호 캠페인을 펼친다.
그러나 내부 문건은 다른 이야기를 한다.
그들의 계열사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는
자금세탁 통로로 활용되었고,
한국 서울 중구 순화동 17층에 ‘한국사무소’를 개설한 정황이 국회 보고서에 포착되었다.
전화는 연결되지 않았고, 실제 활동은 불분명했다.
그러나 2024년, 서울에서 열린 ‘프린스 갤러리’ 전시회에는 그룹의 이름이 버젓이 붙어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부패가 아니라,
‘합법의 얼굴을 쓴 범죄의 시스템’이다.
법인을 세우고, 자선을 하고, 문화 행사를 열며,
그 이면에서 사람을 사고팔고, 돈을 숨긴다.
국가의 침묵과 자본의 합리성이 만나면,
범죄는 윤리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이 사건은 하나의 경고다.
우리가 ‘국가’, ‘시장’, ‘기업’이라는 이름에 얼마나 쉽게 신뢰를 내어주는가에 대한.
캄보디아에서 시작된 이 구조는 이미 국경을 넘어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심지어 서울까지 닿았다.
그것은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현대 자본주의의 어두운 동반자였다.

맺음말 — “기억해야 할 이름들”

우리가 지금 말하는 것은
단지 캄보디아의 어딘가에서 벌어진 비극이 아니다.
그것은 체제의 이야기다.
국가가 법을 팔고, 자본이 인간을 산다.
그리고 우리는, 그 결과를 ‘뉴스’로 소비한다.

그러나 모든 구조에는 틈이 있다.
이 보고서가 존재한다는 사실,
이 글을 읽는다는 행위 자체가 그 틈을 넓히는 일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순하다.
희생자의 이름을 기억하고, 그들을 숫자로 환원시키지 않는 것.
그리고 이 산업의 ‘합법적 가면’을 벗기는 일.

이것이 ‘캄보디아 납치 사건’이 우리에게 남긴 가장 무거운 질문이다.

인간의 고통이 산업의 일부가 될 때, 우리는 어디까지 침묵할 수 있는가.

더 보기

History & Society

1부 캄보디아 납치 사건의 전모와 한국인 피해자의 기록

3부 캄보디아 대사관, 침묵의 외교

김정은, 북한 권력의 고독한 초상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원인

수니파 시아파 차이와 갈등

로제 인종차별 논란

인종차별이라는 벽 – 정의와 사례

영포티, 40대가 말하는 자기관리의 미학

영포티, 20대가 느끼는 젊은 척의 불편함

제 10대 국왕 연산군의 최후

단군신화와 고조선 건국 이야기

한글날 뜻과 유래

훈민정음 뜻과 창제 목적, 반포일까지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초상

Philosophy & Thought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쉽게 풀어쓴 반야심경

금강경 해설 총정리

훈민정음 서문 해설과 해례본·언해본 풀이

개천절의 뜻과 의미

홍익인간 뜻과 정신

Literature & Classics

그리스 로마 신화 연대기

프로메테우스 신화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

묵시록의 4기사

창세기 17장, 아브라함과 언약의 새 이름

창세기 22장, 아브라함은 왜 이삭을 제물로 바쳤나

알베르 카뮈 이방인

한강 소년이 온다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 채식주의자

한강 희랍어 시간

소설 화차

색, 계의 장아이링 원작 소설

‘올빼미’ 실제 역사 이야기

Economic Thought & Commentary

애플 주가와 전망 – 미래를 향한 고찰

Artist Profiles

로제 프로필과 인물 에세이

Designer Toys

라부부 뜻과 정체 공개!

라부부 종류 완벽 가이드

Cultural Events

제 30회 부산국제영화제

시네마워즈 한가위 메시지